사업의 필요성

아·태지역의 빠른 경제성장, 풍부한 관광시장 잠재력, 지역간 지상교통수단의 발달 한계 등으로 세계공항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속히 증가했으며, 아·태지역의 경우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항공시장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국력신장, 북방항로취항 등으로 아·태지역중에서도 고도의 항공수요 증가 추세, 미래 항공시장에서 주요국가로 부상할 것으로 예견(국제민간항공기구 및 국제항공운송협회)한바 있고, 대내적으로는 국민소득 향상에 따른 해외여행 수요 증가, 도로교통 체증에 따른 고속교통수단의 선호 등으로 항공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김포공항은 항공수요 처리능력이 한계에 도달했다.
또한, 주요여건상 장애구릉, 주거지역 밀집, 북방 비행금지지역이라는 장애요인으로 대규모 확장이 불가하였고, 제주, 김해공항 등 지방공항의 대체활용은 한계가 있었으며, 항공기 안전운항 저해 및 정시성 저하와 운항시간대의 불가피한 심야화로 주변지역에 대한 소음피해가 극심하였다.

이에 따라 미래항공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서울에서 52km거리에 위치한 영종도 일원 해상에 새로운 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의 건설이 추진되어 지난 92년 11월에 착공한 인천국제공항은 건설공사를 마치고 지난해 3월29일에 개항하게 되었으며 항공수요의 증가에 따라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건설할 계획이다
앞으로 세계 각국의 대규모 신공항개발 추세에 대응한 지구촌 시대의 전략적 산업으로 항공운송사업을 적극 육성중으로 인천국제공항도 동북아 중추공항을 목표로 보강건설중에 있으며 일본 간사이공항 '94년9월 개항, 홍콩쳅랩콕공항 '98년 7월 개항, 말레이시아 스팡공항 '98년 6월개항했으며 중국 포동공항 2000년 개항했다.
이제 미래의 공항은 초음속·초대형 항공기의 취항이 가능한 대규모 공항시설을 요구하고 있고, 세계화 시대의 국제공항은 단순한 항공교통 거점 역할을 넘어 국제업무활동과 휴식 등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춘 시설을 요구하고 있다.

▲사업추진현황 및 계획
공항시설은 1단계 사업을 완료하여 건설과 운영의 병행체제로 들어간다. 여객터미널의 관제탑 등 부대건물공사, 수하물처리시설(BHS), 항공등화시설, 종합정보통신시스템등 각종 기계
전기 통신시설도 공사를 완료했다.
2단계 사업은 항공수요와 정부의 재정여건을 감안하여 추진시기를 결정할 예정이다.
공항과 도시를 잇는 신공항고속도로는 작년 11월 21일 개통했고, 신공항철도는 작년 3월 27일에 기공식을 가졌으며 2005년에 인천공항∼김포공항 구간을 개통하고 2008년에 인천공항∼김포공항∼서울역까지 완전 개통할 계획이다.
국제업무지역은 한창 조성중으로 공정관리를 철저히 하여 가능한 빠른 시일내에 사업이 마무리되도록 할 계획이다.
공항 신도시는 용지분양과 주택·상업시설등의 건설이 진행중이다.

▲사업개요
총사업비 5조 6,323억원 국고보조 2조 2,519억원과 차입금 3조 3,804억원이 들어간다.

▲완공후 기대효과
김포국제공항 주변소음피해 완화 및 항공운항의 정시성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김포국제공항의 늘어나는 국제항공수요를 인천국제공항에서 대체 수용하여 고질적인 김포국제공항 주변지역의 소음피해 완화와 항공운항의 정시성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초음속항공기와 대형항공기의 출현으로 신속한 대규모 인적·물적 유통이 가능하여 수송시간 단축과 수송비용 절감으로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제고와 함께 국가경제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국제공항건설시의 최첨단 전자·통신·건축·토목기술은 국내항공산업의 획기적 발전과 함께 관련산업발전에도 많은 파급 효과를 줄 것이다.
간석지를 매립하여 대규모 시설인 국제공항을 건설함으로써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인천시가 항공 및 해운교통중심의 원활한 국제무역도시로 부상하게 되는 등 지역경제발전에도 획기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이 동북아를 포함한 국제여객 및 화물수송의 중심지가 됨으로써 우리나라의 국제위상을 한층 더 높일 것이다.
김준우 기자
저작권자 © 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