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는 국내 중동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 중동 붐 전략 일환으로 제2차 한-중동 산업협력 포럼을 개최했다.
산업부는 국내 중동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 중동 붐 전략 일환으로 제2차 한-중동 산업협력 포럼을 개최했다.

우리나라가 신(新)중동 붐을 통한 통상-산업협력과 수출활성화 및 교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스스로 대한민국 영업사원 1호로 자칭한 윤석열 대통령이 앞장서 중동지역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등 각국과 정상회담 및 한국투자 포럼 등을 현지에서 개최하며 한국의 현지 진출과 중동국가들의 한국 투자를 독려중이다.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는 중동 전문가들과 함께 한-중동 통상협력전략 수립을 위한 의견 수렴의 장을 펼쳤다.

작년 11월 사우디 왕세자의 방한을 시작으로 이루어진 정상급 경제외교가 아랍에미리트(UAE)('23.1월), 사우디·카타르('23.10월)로 이어지는 국빈 순방을 통해 우리나라와 경제협력이 가장 활발한 3개 중동국가들과의 정상경제외교를 완료한 바 있다. 아울러, 오만, 바레인 등의 장-차관급 방한이 이루어지는 등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과도 활발한 경제외교 성과가 이루어지고 있다.

오만 에너지광물부 차관은 '23년 5월, 바레인 통상산업부 장관도 '23년 5월 각각 내한한 바 있다.

이 같은 한-중동 협력 강화를 더 전략적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중동 통상협력 전략’ 마련 일환으로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국립외교원, 연구기관, 대학 등 국내 중동 전문가들과 함께 제2차 한-중동 산업협력 포럼을 3일 개최했다.

첫 번째 발제자인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는 43년 만에 한-사우디 공동 성명이 채택되었다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이스라엘-하마스 간 무력충돌 등으로 인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구상에 균열이 생기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이 2024~25년 국제연합(UN)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으로서 우리 입장을 조율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이어 장지향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독자적 행보를 보여 주변국의 눈초리를 산 카타르는 미국과 정치, 군사, 에너지, 방산 등 분야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가고 있음을 설명하며, 카타르와 역내 주요국 간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카타르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성일광 고려대 교수는 그간 논의된 사우디-이스라엘 관계 정상화는 중동 지역 화해뿐 아니라, 이스라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과도 관계 정상화 기회를 열어주는 중대한 함의를 내포한다고 하며, 현재 중단된 관계 정상화 논의는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이 종료될 경우, 재개될 것이라고 전망하는 한편, 정부와 기업이 중동 정세를 예의주시면서 최근 일련의 정부 차원의 조치가 신속하고 적시에 이루어진 점을 평가했다.

한편,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은 인사말을 통해 수출 중심, 원유 수입국인 우리에게 세계 경제 침체와 국제 유가 상승은 해결해야 할 난제로서 이번 순방을 통해 확보한 202억 달러의 경제협력 성과를 구체화함으로써 우리의 산업발전 역량과 기술력을 중동 국가들의 풍부한 원유?가스 및 산업다각화 정책과 연계함으로써 현 위기를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