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수소수요 창출, 수소 유통 인프라 구축,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 수소시장 제도적 기반 마련

전 세계적인 대세로 다가 온 수소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공급과 함께 수요가 잘 일어 나 정착이 되어야 함이 최우선적으로 선결돼야 할 조건이다. 공급할 수소가 충분해야 하고 수요자들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망이 넓게 분포된 구조를 시급히 만들어야 한다. 

정부와 관련 업계는 이러한 수소생태계 조성을 위해 마치 한 팀 처럼 힘을 합쳐 대대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을 수립, 추진에 나서 매우 고무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수립한 이 정책은 △대규모 수소수요 창출 △수소 유통 인프라 구축 △국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 △수소시장 제도적 기반 마련 등 4대 전략별로 과제를 추진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수소산업을 통괄하는 포괄적 정책으로 이 계획들이 제대로 추진될 경우 우리 수소산업이 크게 일어 날 수 있다고 보여 진다.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방안에 따르면 '30년 수소상용차 3만대 보급,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 보급, '36년 청정수소 발전 비중 7.1%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30년 47.1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9.8만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온실가스 약 2,800만톤을 감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수송·발전·산업 부문에서 대규모 수소 수요를 창출한다. 
수소버스·트럭의 구매보조금을 확대하고, 지자체 대상 수소버스·충전소 구축 지원 시범사업, 경찰버스의 수소버스 전환, 수소버스 취득세 감면 및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연장 등을 추진한다.

버스 트럭 등 대형수송수단들을 수소차로 교체하여 성공적으로 운행될 경우 중소형 수송수단으로 확산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관공서 운행 트럭 등을 수소차로 도입하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보급규모를 확대하여 지난해 버스 340, 트럭·청소차 10대이던 것을 올해 버스 700대, 트럭·청소차 220대로 대폭 확대한다. 

또한 혼소발전을 위해 수소 50%, 암모니아 20% 이상 혼소 발전을 오는 '27년까지 기술개발과 실증을 완료하고 '28년부터 단계적으로 혼소발전을 확산시킨다.  올해 실증대상 발전소를 선정하고 '25년까지 혼소 핵심부품 개발, '26~'27년에 유형별로 실증한다. 이미 발전사들은 선제적으로 혼소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서부발전과 같은 경우 석탄개스화발전소를 건설 운영하고 있어 축적된 관련기술로 수소암모니아 혼소발전 실증에 앞서 가고 있다. 

한편 에너지슈퍼스테이션 등을 통해 연료전지 보급을 확산시키고, 소형 수소 터빈, 수소엔진 등을 개발하여 분산자원을 다양화한다. 
에너지슈퍼스테이션은 주유소와 LPG 충전소+재생e/연료전지, 자가 발전으로 전기차 충전 수요에 활용하는 것이다.
여기다 '25년까지 수소환원제철 전환의 기초기술을 개발하고, '30년까지 석유화학 설비에 투입되는 연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소로 전환한다. 

수소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유통 인프라도 마련한다.
세계 최대 수준의 액화수소 플랜트(연 4만톤)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보조금 확대, 기술개발 지원으로 액화충전소를 확대해 나간다.
'30년까지 석탄발전소 밀집 지역에 연 400만톤급 암모니아 인수기지를, LNG발전소 밀집 지역에 연 10만톤급 액화수소 인수기지와 수소 전용 배관망을 구축한다.

향후 지속적인 수소수요 증가를 고려하여, 안정적인 국내외 수소 유통, 수소를 활용한 항만운영 등이 가능하도록 수소항만 구축전략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구축해 나간다. 
암모니아 인수거점(발전용)  수소 전용 배관을 구축한다.

국내와 해외에 대규모 청정수소 생산기지와 공급망을 확보한다. 고효율 대량생산 기술력을 확보하여 국내 그린수소 생산을 확대하고, CO2 해외이송을 지원하여 국내 블루수소 생산기반을 확보한다.
민·관 공동으로 수소 유형별(그린, 블루) 해외 청정수소 생산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금융, 타당성조사 등 신에너지 안보를 위한 지원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청정수소 시장 촉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올해 상반기부터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하고, 전력수급기본계획,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등을 고려하여 연도별로 수소발전량 입찰을 실시한다. 

수소사업법을 제정하여 수소 유통단계별 사업자를 정의하고, 수송·발전 등 분야별 수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수송용 수소거래시장을 우선 개설한 뒤 발전·산업용으로 확대하고, 전국 충전소와 연계하여 판매가격 등 실시간 정보 제공을 강화한다. 
올해까지 청정수소의 기준과 인증제 운영방안을 마련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한국형 청정수소 인증제를 '24년까지 도입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