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국내 건설수주 전년비 15% 급락한 133조 머물 듯

“그동안 완충 역할 해왔던 SOC 투자 등 공공부문이 제 역할 해주지 못해 올 건설경기 경착륙 가능성 매우 커 부동산 대책 수위 조절이나 정부 SOC 예산의 적정 수준 유지와 민자사업 활성화 등 시급”


올해 건설경기는 지난 3년간 지속됐던 호황국면을 벗어나 정부의 부동산규제 강화와 입주증가, 금리 인상가능성 등의 영향으로 내리막 길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건설투자는 전년 대비 0.5%증가하는데 그칠 전망인데 특히 토목투자가 SOC예산 감소로 전년 대비 큰폭 감소가 예상되고 실질 투자는 주거용 건축 투자가 올해 대비 증가세가 크게 위축되면서 소폭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건설 수주시장도 주택경기 하락 영향과 SOC예산 감소 영향으로 민간과 공공수주 모두 동반 하락할 것으로 우려되는 가운데 수주액은 최근 4년내 최저치인 133조원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편집자 주>



올해 건설·부동산 경기는 정부의 SOC예산 대폭 감축과 부동산 규제 강화로 인한 주택 시장의 경기 하락으로 경착륙할 가능성이 매우 커져 보인다. 이로 인해 2018년 건설 수주시장은 민간과 공공수주 모두 동반 하락할 것으로 우려되면서 수주액은 지난 2014년 107조 5,000억원 이후 4년만에 최저치인 133조원에 그칠 전망이다.

이 중 공공수주액은 정부 SOC예산 및 신규사업 예산 삭감 영향으로 전년 대비 10.5% 감소한 41조 7,000억원에 머물 것으로 보여 이는 지난 2014년 40조 7,000억원 이후 최저치의 수치다. 또 민간수주는 주택 수주를 중심으로 건축수주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는 전년 대비 16.9% 하락한 91조 3,000억원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년 건설투자는 전년 대비 0.5% 증가하는데 그치면서 전망이다. 증가세가 큰 폭으로 위축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투자금액은 역대 최고 투자액을 기록한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을 보이며 그나마 양호할 것으로 전망이다.

공종별로는 토목투자가 SOC예산 감소 영향으로 전년 대비 큰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여 부진이 심각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실질 토목 투자액이 1995년 이후 최저치를 재경신할 것이 확실시 되고 주거용 건축 투자도 지난해 대비 증가세가 크게 위축되면서 소폭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보인다.

또 건축 투자는 주거용 건축 투자가 지난해에 비해 증가세가 큰 폭으로 위축되고 비주거용 건축 투자 역시 증가세가 상당 폭 둔화돼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경기 선행지표인 수주가 전년비 15% 급감해 감소세가 매우 빠르고 수주액도 2014년 이후 4년 내 최저치를 기록해 향후 건설경기 경착륙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더 심각한 것은 이같은 수주 감소세가 향후 2~3년간 지속될 가능성이 커 건설 투자는 지난해 하반기 중에 이미 후퇴국면에 진입해 2019년에는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면서 불황국면에 진입할 것이라고 건설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은 지난 3년간의 호황기가 끝나고 향후 빠른 경기 하락이 예상된다는 점을 고려해 수주잔고 확보와 불확실성 모니터 그리고 리스크관리 등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올해 국내 부동산시장은 △금리인상 등 유동성 축소 △수요 위축 △준공 증가 등을 3대 리스크로 꼽으면서 이로 인해 전국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0.5% 각각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동안 거시경제와 민간 건설경기가 침체될때는 정부가 SOC 예산 증액 등을 통해 공공부문이 경기 침체의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했지만 금년에는 정부가 SOC 예산을 사상 최고 폭으로 삭감해 건설 경기가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한편 건설산업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말 열린 ‘2018년 건설·부동산 전망’ 세미나에서 "우리나라의 건설경기는 그동안 호황국면에서 불황국면으로 진입하는 기간이 과거에는 2년 반 정도인데, 이번에는 약 1년 정도에 불과해 경기 하강 속도가 매우 빠르다"면서 "이는 과거와 달리 SOC 투자 등 공공부문이 완충 역할을 해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국내 건설경기의 경착륙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해 부동산 대책 수위 조절이나 정부 SOC 예산의 적정 수준 유지와 민자사업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