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동북아 하늘의 문이 열린다지난 6월말 기본시설 준공·시운전 착수…허브공항으로 ‘완벽’여전히


내년 개항을 앞두고 막바지 작업이 한창인 인천국제공항공사 임직원을 비롯한 여러관계자들의 목표이다.
여의도 면적 18배에 해당하는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 6월말 여객터미널과 관제탑 등 기본시설 준공하고 7월1일부터 종합 시운전에 착수하는 등 내년 3월말 개항을 위한 ‘카운트 다운’에 들어갔다.
인천공항은 동북·동남아와 북미지역을 잇는 북태평양 항공노선과 유럽·동북아를 연결하는 시베리아 횡단노선의 최전방에 위치한데다 3.5시간안에 도달할 수 있는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도 무려 43개에 달하고 있어 지리적으로도 이미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인천공항은 화물수송 부문에서만 24시간 운영체제를 갖춘 일본 간사이공항, 홍콩 첵랍콕 공항과 달리 여객부문에서도 24시간 운영체계를 갖추고 있어 동북아 중심공항으로서 전혀 손색이 없다는게 항공업계의 관측이다.
특히 지하 2층, 지상 4층의 국내 최대 건물인 여객터미널(15만4,000평)은 모두 270개의 체크인 카운터에서 시간당 6,400명의 여객과 3만2,000여개의 수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최첨단 인텔리전트 빌딩으로 한 건물안에서 국제선과 국내선을 편리하게 갈아탈 수 있다고 인천국제공항공사 측은 설명했다.
공항공사 측은 또 첨단시설을 활용, 입출국 수속시간도 개항시점에 45분 이내로 유지하고, 장기적으로는 이를 30분내로 줄여 고객 항공사들에게 여유있는 착륙공간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하루 1,500회 이상의 이·착륙에도 견딜 수 있는 활주로 시설과 부근 지역의 양호한 기상여건으로 결항률을 김포공항(2.48%)보다 낮은 0.48%선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도 경쟁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또 길이 3,750m, 폭 60m의 제1활주로는 앞으로 5∼10년후에나 취항할 600t급이상의 초대형 항공기와 초음속 여객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어 미래공항으로 손색이 없다는게 공사 측의 자체 평가다.
공사측은 또 저렴한 공사비를 감안, 취항 항공사에 대해 착륙료 등 각종 공항사용료를 저렴하게 책정할 수 있다는 점도 경쟁에서 유리한 요인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인천공항 사업비는 민자를 포함,약 8조원 규모로 일본 간사이공항(30조원), 홍콩 첵랍콕(24조원)에 비해 훨씬 낮기 때문에 공항사용료 경쟁에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공사는 자신하고 있다.
특히 공항과 서울 도심을 50분만에 주파할 수 있는 신공항고속도로 등 접근시설도 매우 양호한 편이다. 이밖에 인천국제공항은 동시 주차능력 1만1천대, 세계에서 3번째로 높은 관제탑(100.4m), 183만1천주의 조경식수 등 다양한 진기록을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제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92년 착공 이후 부실공사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고 또 과도한 부채규모와 이자부담 때문에 앞으로 장기간 적자운영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감사원 감사를 통해 밝혀짐으로써 또다시 논란을 빚고있다.
감사원의 감사결과를 보면 이 공항은 잦은 설계변경과 이에 따른 공사비 급증 및 과도한 차입으로 국민부담을 가중시키는 또 하나의 ‘빚잔치’임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인천공항은 개항 첫해인 내년에 5,351억원의 운영수입이 예상되지만, 차입액이 지난 3월 현재 3,960억원이나 되고 연간 이자부담액만도 4,410억원에 이르고 있어 수입금으로 이자를 갚는데도 힘이 부치는 형편이라는 것이다.
차입금이 이처럼 크게 늘어난 것은 그동안 8차례에 걸친 기본계획 및 공사비 수정으로 총사업비가 당초의 2.3배인 8조원 가량으로 증가하자 정부가 국고지원을 사업비의 40%로 제한하고 나머지 60%는 인천공항공사가 자체 조달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감사원은 외국의 공항 건설에서 처럼 국고지원이 50∼60%가 되지 못한 점을 지적했으나 근본적인 화근은 구체적인 사업내용과 기본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급하게 ‘삽질부터 먼저 하는’ 본말전도의 주먹구구식 행정에서 비롯됐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활주로, 여객터미널, 화물청사 등 주요 시설의 사업내용을 확정하지도 않은 채 개략적인 사업비만을 산정해 우선 공사에 착수한 뒤 나중에 실시설계 과정에서 이들 시설을 확정해 기본계획에 반영하는 식의 ‘거꾸로’ 행정을 되풀이하여 공사비를 턱없이 불려놓았다.
그러나 주사위는 던져진 것으로 내년 3월부터는 본격적인 공항 운영이 들어간다. 대형 국책사업에서 번번이 반복되고 있는 이 같은 실책으로 국민의 혈세 부담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획기적인 운영개선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은경 기자
저작권자 © 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