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체 강행시 일부업체로만 발주 몰려 납품지연 품질저하 우려 철회 촉구

한전은 제조업체에서 아직 생산준비가 덜 된 새로이 업그레이드 된 전력량계를 급속히 도입할 방침이라 전력량계 제조업계의 반발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한전이 전격적으로 교체하려 하는 보안형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전체 업체의 약 10% 수준에 불과하며, 그중에서도 각 사양별 제품을 모두 감당할 수 있는 업체는 1~2개사로 업체들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전이 무리한 계획을 계속 강행한다면 특정업체를 위한 행위로 의심할 수도 있다.”며 계획에 대한 재검토를 희망했다.

업계에서는 전국에 산재한 전력량계를 보안형계기로 교체할 경우 수백만대가 필요한데 이를 제조업체들이 준비가 덜된 것을 뻔히 알고도 무리하게 추진한다면 상생협력 차원에서도 맞지 않는다고 토로한다. 

한전은 최근 보안계기 보급계획을 발표하고, 올해 8월부터 11월까지 약 1만대를 시범운영한 후 내년도 총 309만대에 달하는 예상 전력량계 도입분 중 약 191만대를 보안계기로 구매하고, 기존의 디지털전력량계는 118만대를 도입하는 한편 2023년에는 보안계기를 100% 전면 도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금계획대로 발주된다면 제조업계는 도저히 그 물량을 제작할 수 없어 납품지연에 하자발생 등 다수의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전력량계 제작 업계는 그 대안으로 2-3년의 기간을 두고 점증적 교체를 주장하고 있다.

한전은 올해 8월~11월 보안형 전력량계 약 1만대가량의 시범운영을 거쳐 오는 2023부터 전면적으로 적용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관련 단체와 대다수의 업체들은 ‘현실을 외면한 무리한 결정’이라며 이에 대한 시정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전력량계 관련 단체 및 대다수의 전력량계 업체들은 “보안계기 도입에 대한 준비가 상당히 미흡한 상태에서 이러한 결정을 내리는 것은 현실을 무시한 처사로 한전의 계획달성도 어려울뿐더러 여러 가지로 어려운 상황에 몰려 있는 업체들에게 더욱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 전자식 계기 도입과정에서도 나타났듯 신형 계기 도입 후 1~2년간 끊이지 않고 대형 하자문제가 발생해 문제가 된 것처럼 이번 보안계기를 약 3~4개월의 단기간 시범운영을 거쳐 대량 또는 전면적으로 도입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현재 전 세계적인 반도체 수급현황이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을 살펴보더라도 보안계기의 원활한 수급은 불가능할 것으로 명확히 전망된다며 한전의 성급한 도입계획은 수정 철회돼야 한다고 업계는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한전의 보안계기 도입계획을 △도입 첫해 저압계기 전체물량의 20% △도입 2년차 저압계기 전체물량의 50% △도입 3년차 100% 적용을 제안하고 있다.

 

저작권자 © 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