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24일부터 혁신조달 전 과정 아우르는 통합서비스 제공

혁신장터 개념도
혁신장터 개념도

 

정부의 혁신조달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통합(원스톱) 서비스 포털이 24일 개통된다.   

조달청(청장 정무경)은 범정부 혁신조달 플랫폼‘혁신장터(ppi.g2b.go.kr)’를 개통하여  상용화된 제품 중심의 현행 공공조달시스템 ‘나라장터’와 차별화 하여 운영하기로 했다.

혁신장터는 공공기관의 혁신수요와 기업의 혁신제품을 연결하고, 혁신제품의 초기 진입 시장을 제공하게 된다. 


‘혁신상품 수요 제시 ․ 제품 등록 ․ 원스톱 거래’가 가능한 열린 장터(오픈마켓) 형태로 운영되며, 「혁신지향 공공조달 방안」(19.7월)에 따라 구축됐다. 

‘혁신장터’주요 기능은 ▲혁신제품 전용몰 ▲혁신 수요 ․-공급 커뮤니티  ▲부처별 공공 R&D 수요조사 통합운영 ▲경쟁적 대화방식 등 혁신조달제도의 정보화를 지원하는 4가지이다.

 혁신제품 전용몰은 우수 R&D 제품, 혁신 시제품 시범구매 제품 등을 열린 장터 형태로 업체가 자유롭게 등록-거래할 수 있도록 하여 혁신 제품의 판로를 지원한다.

그동안 수요기관과 업체별로 오프라인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던 혁신제품 탐색 절차를 온라인화하고, 인공지능(AI)을 도입하여 비교 가능한 상품을 한 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구매 편의를 크게 높였다.

이번 개통으로 지난해 혁신시제품으로 지정된 드론 등 66개 제품이 한자리에 선보이게 된다.

올해는 300개 이상의 제품이 새롭게 등록될 예정이며, 나라장터와 연계하여 수요기관의 구매가 편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모든 국가기관, 지자체, 공기업 등 공공기관별 물품 구매액의 1%를 혁신제품 구매에 활용하는 제도가 의무화된다.

예산 규모는 연간 약 4000억 원이며 구매 실적은 기관 평가에 반영될 예정이다. 

혁신 수요-공급 커뮤니티도 구축된다. 공공 서비스 개선을 위한 공공기관의 문제 제기와 기업이 혁신제품 공급을 제안하고 전문가를 통해 수요와 공급 간 연계를 지원한다.

이 커뮤니티를 통해 수요 제기자의 편의를 제고하고 국민이 정부에 원하는 수요를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향후 정책 방향을 결정하거나 연구개발을 지원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계획이다.

이 기능은 국립공원 관리 맞춤형 드론 도입에 3년이나 소요되었던 사례 등을 개선하고자 미국 조달청이 운영하는 연방정부 구매담당자용 포털을 벤치마킹하여 구축했다.  

부처별 공공 R&D 수요조사를 통합 운영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등 관련부처와 협의체를 구성하여 부처별로 추진하던 공공 연구개발(R&D) 사업의 수요 조사 정보를 혁신장터에서 통합하여 제공하며, 올해예산 규모는 약 2200억 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혁신조달제도의 정보화 지원도 서비스 한다. 혁신시제품 시범구매사업, 경쟁적 대화 방식 등 새롭게 도입된 혁신조달 제도를 온라인에서 구현하여 혁신조달 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혁신시제품 시범구매사업은 상용화 전 시제품 중 혁신성을 평가하여 수의계약 대상으로 지정하고 조달청 예산으로 직접 구매하고 수요기관의 실증을 거쳐 상용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경쟁적 대화방식은 과업 규격을 발주자가 설정하지 않고 전문가들이 제시한 혁신적 아이디어가 경쟁을 통해 규격에 반영되는 문제 해결형 계약방식이며 오는 3월 20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올해는 도전적 수요 발굴 업무 지원, 온라인 평가 기능, 평가위원 추천 기능 등을 추가로 구현하기 위해 혁신장터 기능을 더욱 고도화 할 계획이다.

강신면 구매사업국장은 “조달청은 지난해 혁신조달 전담 부서를 신설하여 혁신 시제품 시범구매, 혁신장터 구축 등 혁신조달 기틀을 마련했다.”며 “올해는‘혁신장터’라는 단일 창구 개통을 계기로 범정부 차원의 협업으로 혁신 지향 공공조달의 성과를 창출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