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이후로 불기 시작한 대중소기업간 상생경영의 바람이 이들 사이를 가로막았던 두꺼운 벽을 조금씩 허물기 시작했다.

대통령 또한 연두 기자회견에서 양극화 해소를 언급, 중소기업 살리기에 무게를 실어줌으로써, 중소기업에 따뜻한 봄볕이 비추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의 대기업들은 물건을 사고 어음 등으로 대금 지급을 하던 과거와 달리 현금 결제로 대금 지급을 대신함은 물론, 중소기업의 시설투자 자금 지원을 강화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 교육 등 공동개발을 통한 상생의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상생협력의 창구 역할을 하는 협력사 협의회 등을 통해 대기업과 중소협력사들의 가교가 생기면서, 상호 윈-윈을 위한 로드맵을 가시화하고 있다.

하지만 일간에서는 최근 불고 있는 상생경영의 화두가, 우는 아니 달래려고 입에 물려주는 사탕에 비유되고 있다. 우는 아이에게 사탕을 주면 아이는 금새 울음을 그치지만, 아이의 치아는 금새 썩어버리고 홀로 울음을 그칠 수 있는 자립심도 없어진다.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 대중소기업의 현주소며, 우는 중소기업 달래려고 주는 대기업의 상생이라는 사탕이다.

실제로 대기업들은 상생이라는 립서비스로 중소기업을 달래면서, 과거의 거래 관행을 고수하고 있다.

대기업들은 중소기업들이 자금 지원을 받는 경우 중소기업의 지분을 요구하는 등 경영간섭의 수위를 높이는가하면, 대기업의 구매팀, 연구소 등 일선에서 중소기업의 기술이 유출되거나 부당하게 취급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물론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인데, 손해를 보면서 상생을 강요할 수는 없다. 하지만 환율하락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중소기업에 납품단가 인하를 요구하는 등 대기업 환차손에 대한 비용을 전가하는 행위는 중소기업의 뿌리를 흔드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선택과 집중에 치우친 중소기업 정책, 현실과 괴리된 대중소기업관계, 이것들이 바로 중소기업들이 ‘상생(相生)’을 ‘상생(慯근심할상生)’으로 받아들이는 이유일지도 모른다.

따라서 대중소기업의 상생을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 받아들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동반 성장해야만 한다. 대기업의 선순환되는 자양분을 섭취한 중소기업이 뿌리 깊게 자랄수록, 대기업의 줄기는 더욱 높이 뻗을 수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