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의 경제정책화두는 ‘창조경제’다. 창조경제는 개인과 기업, 기관 등 각각의 주체들이 창의적 아이디어와 과학기술을 결합해, 창업 또는 기존 산업과 융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균형발전을 선도하자는 새로운 성장 전략이다.

창조경제는 아이러니하게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 내는데 주목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도 나침반과 화약, 증기기관 등 수많은 발명품이 있지만, 어느 날 갑자기 우리 앞에 나타난 것은 아니다. 신 개념의 발명품이 나타나기까지 이와 연관된 이론적, 산업적 기반이 갖춰졌고, 시장의 여건이 성숙했기 때문에 이들 발명품의 가치와 수요가 급속도로 높아진 것이다.

마찬가지로 창조경제는 아이디어에서부터 사업화에 이르기까지 리얼 크레이티브가 아니다. 다행인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융복합할 기존의 콘텐츠가 지금까지 지역산업정책을 통해 많이 발굴 됐다는 것이다.

지역산업은 지역에 기반이 있는 산업 분야에서 고용을 창출해 자생력과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미 지난 10여 년간 기초 및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경쟁력을 가진 산업군이 집중 육성돼, 창조경제의 새로운 아이디어와 결합할 준비를 마친 상태다. 특히 지역산업은 대기업 중심의 요소투입형 성장이 한계를 보이고 있는 시점에서 산업발전의 패러다임을 개별 기업에서 산업생태계 중심으로 바꾸고, 지역기반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최적의 산업정책이다. 특히, 정부는 지역혁신기관인 테크노파크를 활용해 비즈니스 아이디어(Business Idea) 및 R&D거점기관으로 중점 육성해 상호 시너지효과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늘려갈 계획이다.

창조경제의 성공을 위해서 지역산업정책의 패러다임도 변화됐다. 정부가 얼마 전 지역산업육성정책의 골격을 수정하고 창조경제를 뒷받침할 추진체계를 갖춘 것이다. 기존의 3단 체계에서 2단 체계로 단순화해 지역산업육성사업의 효율성을 강화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의 자율성이 향상 돼, 시·도가 주도적으로 특화산업을 선정했고, 기업지원내용을 기획했다. 각 시도별로 기획과정에서 우선 고려된 부분이 첫째, 양질의 일자리 창출, 둘째, 시장개척형 기업지원서비스 강화, 셋째, 통합비즈니스 거점화 달성 등이다.

남은 과제는 지역산업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것이다. 지역의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인적·물적자원을 결집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개발과 그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해야 한다. 특히, 전국의 18개 테크노파크가 중심이 돼 중앙과 지역을 연결하고, 각계의 의견을 모아야 한다. 이러한 산업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받아들일 수 있는 유연하고 감각적인 기업지원 플랫폼을 완성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 고려되어야할 두 가지 과제가 있다. 우선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제도적 걸림돌이 있다면 관계기관이 힘을 모아 새롭게 정비해야 한다. 모든 제도와 규정은 기업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전국의 테크노파크가 지난 10여년동안 지역의 기업지원 과정에서 경험한 애로사항과 기업인의 의견을 들어보면 쉽게 도출할 수 있다. 특히, 행정 편의적인 요소가 있는지, 특정한 분야에 유리한 규정이 있는지, 강한 규제로 창의적 아이디어가 사장될 요소가 있는지 등을 살펴야 할 것이다.

다른 하나는 실패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창조경제의 다른 의미는 도전으로 인식 할 수 있다, 실패를 하려고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은 없지만, 새로운 시도가 100% 성공한다는 것은 모순이다. 외국의 사례에서 찾아 볼 수 있듯, 실패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새로운 기회에 도전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창조경제의 새로운 문화로 자리 잡아야 한다.
저작권자 © 산업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